한겨울에도 얼음 가득한 아이스 아메리카노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.
'얼죽아(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)'라는 신조어가 일상에 스며든 지 오래다.
AFP통신에 따르면 영하권 추위가 이어진 1월 스타벅스코리아의 아이스 아메리카노 판매량은
따뜻한 아메리카노보다 약 10% 많았다. 이 통신은 강추위에 롱패딩을 입고 아이스커피를
마시는 얼죽아 문화를 조명하면서 줄임말 '아아(아이스 아메리카노)를 소개하기도 했다.
'얼죽아'는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? 추운 날씨에 마시는 아이스 아메리카노는
위장관을 수축해 소화장애, 속 쓰림, 신트림 등의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. 찬 음료가
위장관을 움츠러들게 하면 위산 분비가 활발해지고 위산이 역류하기 때문이다.
기온이 낮을 때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혈관을 수축한다. 이 과정에서 혈압도
함께 올라가는데, 찬 음료를 마시면 혈압 조절은 더욱 어려워진다. 평소에 혈압이
높다면 겨울철 차가운 음료보다는 따뜻한 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. 보건복지부에
따르면 겨울철은 사계절 중 심뇌혈관질환 사망자 수가 가장 많은 계절이다.
최근 10년 동안 12~2월에 사망한 심뇌혈관 질환자는 10만 명이 넘는다.
일반적인 상황이라면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나쁜 음식이 아니다. 아메리카노 속 카페인은
중추신경계를 자극해 정신을 맑게 해 주고 피로 해소에 도움을 준다. 카페인뿐만 아니라
고혈당 조절에도 이로운 영향을 주는 '클로로겐산'이 들어있다. 간에 이롭다는 연구도 있다.
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에 따르면 하루에 커피를 두 잔씩 마시면, 간 경변증의 위험이 줄었다.
'얼죽아'가 아니더라도 아메리카노를 과도하게 마시면 부작용이 따를 수 있다.
커피 속 카페인은 빠른 심장박동, 신경과민, 불면증 등을 부른다. 과한 이뇨 작용으로
신장에 무리를 줄 수도 있다. 식약처는 카페인의 하루 섭취 권고량을 성인 기준 400mg
이하로 설정하고 있다. 임산부는 300mg 이하, 어린이 및 청소년은 2.5mg/kg 이하다.
'요즘 세상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드시 알아야 할 크롬 키보드 단축키 10가지 (0) | 2023.02.21 |
---|---|
당뇨인을 위한 건강기능식품, 오해와 진실 (0) | 2023.02.19 |
양배추 많이 먹으면 안 되는 경우 (1) | 2023.02.16 |
우리나라에 출시하려고 인증 진행중인 푸조 408 하이브리드 (0) | 2023.02.14 |
현재까지 각종 중독증상에 치료효과가 제일 좋다고 알려진 약 (0) | 2023.02.10 |
댓글